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ddodoi 님의 블로그

15주차-파트05: 채용에 어필하는 방법, 오픈소스 저작자, 오픈소스 체크리스트 본문

웹풀스택 일일정리

15주차-파트05: 채용에 어필하는 방법, 오픈소스 저작자, 오픈소스 체크리스트

ddodoi 2024. 12. 1. 21:20

CHAPTER 1. 채용에 어필하는 방법

1) 협업 능력 : 코드 대화(소통) 가능, 이슈~토론

2) 프로젝트 문해력 : 기획, 설계, 구현~테스트, ...유지보수, 리팩토리, 운영...

3) 코드 분석 : 언어의 특징, 인사이트 => 코드 구현 능력!

4) 개발 문화 속에서 성장 경험

5) 꾸준한 노력/ 개선 cf. 블로그

6) 개발자 한정 x (문서, 주석, 설계, 테스트 ... 기능 제안) => 다양한 직군 어필!   ex. IT 서비스 기획, QA

7) 팀스테이지(Teamstage) 70% 실패

      : 기술 오류, 휴먼 에러, 전반적 프로세스, 실현 불가능, 사람들과 접점 낮음...

       "슈퍼 유저 시선"

 

 

 

 

CHAPTER 2. 오픈소스 저작자

✔️오픈 소스 구성원 역할

  • 저작자 :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만든 사람 또는 조직
  • //메인테이너 : 프로젝트의 방향을 알고 있는/직접 설정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사람
  • //커미터 : 컨트리뷰터가 컨트리뷰션을 하면 리뷰를 하는 컨트리뷰터, 프로젝트에 반영할지 말지 결정 권한도 가지고 있는 컨트리뷰터
  • 컨트리뷰터 :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컨트리뷰션(기여) 활동을 하는 모든 사람
  • 사용자 :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사용하는 사람

 

 

✔️저작자가 되면 좋은 이유

- 사용중인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코드를 구현해서 컨트리뷰트 PR : 기능 수정, 추가 욕심

- 컨트리뷰트 PR : 우선순위에 따라 반려

 

만약 ...우선순위에 따라 반려 당하면...? => "오픈소스 프로젝트 fork해서 별도의 프로젝트 내가 직접 운영" (⭐기존 프로젝트 라이선스 신경 반드시 써야함⭐)

 

- 프로젝트 성장 도모

- 함께 공유, 함께 개선, 아이디어 추가

 

 

✔️저작자는 어떻게 되는가

 

오픈 소스 프로젝트가 되는 코드가 따로 있다? X

  • 아무 프로젝트 라이선스 달면 오픈 소스!(ex. MIT)
  • Readme
  • Contributing
  • ⭐중복이 아닌 명확한 프로젝트 이름: 어떤 프로젝트를 만들었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)  ex. is-null-or-not

 

✅저작자 체크리스트

 

디테일 살리기

 

아무 프로젝트 라이선스 달면 오픈 소스(ex. MIT)

 

- Readme

1) 프로젝트 만든 이유, 목적, 사용 용도 추천

2) 코드 사용 방법/ 설치 사용 방법

 

- Contributing

환영 메세지/ 가이드 (다른 프로젝트 참고)

 

- LICENSE

라이선스 전문

상표권 침해를 피하기 위해 가능한 중복이 아닌, 기능이 명확한 ⭐프로젝트 이름⭐   (ex. is-null-or-not)

 

- 코드

이해하기 쉬운 코드(*명명법), 주석 설명 깔끔, 데드 코드 정리, 민감 정보 제외

 

✓ 만약 회사, 프로젝트 : 사내 법무팀, 오픈소스 담당 팀 자문 / 담당자 추가 / 외부에 바로 오픈 X (사내 오픈 먼저)

 

 

✅(특히 회사에서) 오픈소스 사용할때, 체크리스트

금융권 : 시큐어 코딩, 오픈소스 활용/ 관리 안내서 by 금융감독원, 금융보안원

 

[개발 전]

1. 오픈소스에 대한 사전 기능 및 보안성 테스트

      : 기능, 보안성, 이슈 현황 파악

      : 취약점 확인, 기관 연락 검토 요청 => 신뢰성 검증

2. 라이선스 검토

     : 라이선스를 사용함으로써 지켜야 하는 규정, 준수 검토

     : 위약금, 법적 문제 => 사내 법무팀 자문 요청

 

[개발 중]

1. 최약점 최소화 : 보안 정책팀 협업 => 인증, 주요 기능 보안 강화

2. 대체 수단 확보 : 예외, 법적 이슈 발생 => 대비책 마련

3. 자체 대응 및 구가 개발 역량 확보 : 충분한 이해, 기술력 => 문제 해결 능력 갖춤

 

[개발 후]

1. 모니터링: 오픈 소스 현황, 취약점 업데이트

2. 오픈소스 보안패치 : 확인, 취약점 최소화, 적용

3. 오픈소스 종속성 검사 : 문제 발생, 최대한 빨리 해결

4. 기능 및 보안성 테스트 : 테스트 부서, 보안 팀,... 협